
GCode
3D 프린터는 GCode를 사용하여 제어됩니다. GCode는 3D 모델링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되며, 3D 프린터에서 실행됩니다. GCode는 기계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코드는 3D 프린터의 다른 기능을 제어합니다.
예를 들어, G1 X10 Y10 Z0.3 F100은 3D 프린터에게 다음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합니다
- X축으로 10mm 이동
- Y축으로 10mm 이동
- Z축으로 0.3mm
- 이동 이동 속도는 100mm/분
이외에도 GCode에는 3D 프린터의 속도, 위치, 온도, 스텝 수 및 다른 제어 매개변수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명령이 있습니다. 따라서 GCode는 3D 프린터가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령어를 모아놓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GCode와 MCode
GCode를 들여다보면 G로 시작하는 것과 M으로 시작하는 것이 보일 겁니다. G로 시작하는 것은 GCode이며, M으로 시작하는 것은 MCode입니다.
GCode와 MCode는 모두 CNC (Computer Numerical Control) 기계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GCode는 기계의 이동 경로와 작동 방법을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G01은 직선 이동을 의미하며, G02와 G03은 각각 원호 좌우방향으로의 원호 이동을 의미합니다.
GCode는 기계의 속도, 회전 방향, 시작점과 끝점 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MCode는 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M03은 스피너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명령이며, M05는 스피너를 정지시키는 명령입니다.
MCode는 또한 기계의 적재 및 언로드, 쿨링 시스템 등과 같은 보조 장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GCode 해석

위의 사진은 3D 모델링 파일을 GCode로 변환한 일부분입니다.
우선, GCode를 들여다 보면 대다수가 G1 X89.069 Y74.044 E4.78167 이러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해당 코드를 설명하자면
G1은 직선 이동을 제어하겠다는 뜻이고,
X89.069 Y74.044는 현재위치에서 (89.069, 74.044) 위치로 이동하겠다는 뜻이며,
E4.78167은 현재 압출된 길이에서 4.78167mm 길이까지 압축이 되며 이동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압출된 길이는 3D프린터가 동작한 후부터 사용된 필라멘트의 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그래서 GCode를 보면 E의 길이가 점점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3D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주요 GCode와 MCode
Gcode | 의미 | Gcode | 의미 |
Fnnn | 이동 속도를 의미 1분당 Feedrate (프린트 헤드의 움직임 스피드) |
G20 | 단위를 인치로 설정 |
Ennn | 압출형의 길이 mm. 이것은 정확히 X, Y, Z 와 같지만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길이 | G21 | 단위를 밀리미터로 설정 |
G0 | 빠른 이동(rapid move) | G90 | 절대 좌표로 설정 |
G1 | G1: 제어된 이동(controlled move) | G91 | 상대 좌표로 설정 |
G28 | 원점으로 이동 | G92 | 위치 설정 |
G4 | 멈춤. 3D 프린터의 모든 동작을 Pnnn(파라미터 명령)에 의해 지정된 시간 만큼 멈춤 |
MCode | 의미 | MCode | 의미 |
M0 | 정지 | M107 | 쿨링 팬 OFF |
M1 | 남아 있는 작업을 모두 종료하고 종료 | M109 | 압출기 온도 설정 후 대기 |
M17 | 모든 스테퍼 모터 활성화/전원 | M117 | LCD화면 상에 메시지 표시 |
M18 | 모든 스테퍼 모터 비활성화 | M133 | 특정 헤드를 M109에서 설정한 온도로 다시 가열 |
M101 | 압출기 1을 앞으로 켜기/압출기 후퇴 실행 취소 | M140 | 베드 온도 설정 |
M102 | 압출기 1을 역방향으로 켭니다. | M141 | 챔버 온도(고속) |
M103 | 모든 압출기 끄기/압출기 후퇴 | M190 | 베드가 지정 온도가 될 때까지 대기 |
M104 | 압출기 온도 설정 | M300 | 소리 재생(비프음) |
M106 | 쿨링 팬 ON |
'업무 > 3D 프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프린터] Sindoh DP201 노즐 청소 방법 (0) | 2023.03.30 |
---|---|
[3D프린터] Sindoh DP201 네트워크 설정 및 CAM 모니터링 (0) | 2023.03.27 |
[3D프린터] Sindoh DP201 GCode 변환 툴 3DWOX 사용법 (0) | 2023.03.12 |
[3D프린터] FDM 방식인 Sindoh DP201 에러 발생 시 해결 방안 (0) | 2023.03.12 |
[3D 프린터] 3D 프린터 종류 (0) | 2023.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