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논문

[논문] Comprehensive Approaches to User Acceptance of Internet of Thing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by onecosm 2022. 10. 26.
반응형

E. Park, Y. Cho, J. Han and S. J. Kwon, "Comprehensive Approaches to User Acceptance of Internet of Thing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in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vol. 4, no. 6, pp. 2342-2350, Dec. 2017, doi: 10.1109/JIOT.2017.2750765.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8031000

 

Comprehensive Approaches to User Acceptance of Internet of Thing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With rapid improvements i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infrastructure,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s become a promising sector within the glob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y. Various fields are employing the concept of IoT for th

ieeexplore.ieee.org

 


Comprehensive Approaches to User Acceptance of Internet of Things in a Smart Home Environment(스마트 홈 환경에서 사물 인터넷의 사용자 수용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 논문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해당 논문은 스마트 홈 환경에서 IoT 기술에 대한 사용자 수용의 주요 결정 요인 탐색, 5가지 잠재적 사용자 요인과 기술 수용 모델을 통합연 연구 모델 조사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잡았습니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 모델 구축하여 총 9개의 구성에 대한 40개의 질문 항목 수집(사전 연구를 통해 사용 및 검증)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다음으로 개정된 문항을 바탕으로 IoT 기술 관련 실무 경력이 3개월 이상인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시범조사(파일럿 조사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테스트 되었음)를 하여 7개의 질문 문항 제거하였고 7점 리커트 척도 사용하여 한국 2기업에서 온라인 설문조사 실시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검증된 샘플 1,057개를 통해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1. 다섯 가지 동기 요인, 즐거움, 호환성, 연결성, 제어 및 비용을 통합하여 스마트 홈 환경에서 IoT 기술에 대한 포괄적인 수용 모델을 소개하였습니다.

 

2. IoT 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태도가 사용 의도에 대한 가장 큰 예측 변수임을 나타내었고, 

지각된 유용성이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보다 큰 반면, 유용성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보다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낮다고 나왔습니다.

 

3. 선정된 외부동기 중 인지된 호환성과 비용은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 서비스 및 장치와 호환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IoT 기술의 성공적인 확산을 결정하는 핵심 문제 중 하나임을 강조하였습니다.

사용하기 쉽고 호환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IoT 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세 가지 요소로 의도를 결정하였습니다.

스마트홈 환경에서 IoT 기술과 기존 제품을 함께 사용할 때 호환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느냐에 따라 사용자의 IoT 기술 도입 의향이 크게 좌우되며 기술의 경제적 측면(인지된 비용)은 의도에 대한 현저한 장애 중 하나로 간주되지만 이러한 장애는 기술의 발전과 발전에 의해 감소될 수 있습니다.

인지된 호환성과 연결성 모두 미래 비즈니스 및 경쟁 시장에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현재 연구의 결과는 실용적이고 이론적 함의를 나타내었습니다.

 

해당 논문에서 이야기하는 한계로는

첫째, 연구모형을 조사할 때 설문 응답자의 개인정보를 고려하지 않았다.

몇몇 선행 연구는 혁신적이고 최신 기술의 사용자 채택이 개인의 특성과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기술한 설문조사는 한국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결과를 다른 국가에 직접 적용할 수 없다.

이전 연구에서는 문화적, 국가적 차이가 사용자 채택 패턴과 유의하게 연관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셋째, H6(지각된 즐거움과 유용성)에 대한 거부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충분한 설명을 제시하지 못한다가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