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논문

[논문] 모바일 메신저 사용 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사용자 유형화 _카카오톡 채팅을 중심으로

by onecosm 2022. 10. 26.
반응형

황지은, 이유림, 김소정, 강연아. (2020). 모바일 메신저 사용 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사용자 유형화 _카카오톡 채팅을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 727-731.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10402834&googleIPSandBox=false&mark=0&useDate=&ipRange=false&accessgl=Y&language=ko_KR&hasTopBanner=true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www.dbpia.co.kr

 

해당 포스트는 카카오톡 사용자별 모바일 메신저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기능 별 인식과 경험 분석과 이에 따른 기능 제공하는 것에 대해 발표한 논문을 보고 정리한 것입니다.

 

연구 방법으로는 총 26명. 20 ~ 30대 성인이 참여한 반구조적 인터뷰를 1대1로 약 45분간 심층 인터뷰를 진행을 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행동과 태도에 따라 사용자 유형 9가지로 분류한 후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나타나 자아에 대한 장현미(2014)의 선행 연구 참고하여 4가지 유형으로 재분류하였습니다.

 

 

해당 논문에서는 카카오톡 사용자 유형을 2차 분류를 하였는데, 기능 활용도와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매트릭스로 구분하였습니다.

 

  • 기능 사용도는 높지만 전반적인 사용성이 부정적인 집단 : 인상관리적 자아

    기능복잡성에 대한 피로도와는 별개로 기능에 대한 사용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으며 비교적 고르게 공적, 사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통적으로 공적에 해당하는 관계 참여 피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동시에 강제성을 느끼는 정도 또한 높았습니다. 카카오톡의 공적인 사용으로 인한 관계 참여 피로도가 높은 유형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업무용 채팅을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카카오톡을 사용하면서 강제성을 높게 느끼고 있는 유형
    관계 참여 피로도 또한 매우 높은 경향을 가진 유형입니다. 카카오톡을 공적으로 사적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어 이에 따라 카카오톡에 높은 의존도를 보이며, 동시에 자기노출을 염려하고 있다는 특징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카카오톡의 강제성, 관계 참여 피로도, 자기노출염려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카카오톡의 전반적 사용 경험이 부정적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고 자기관리적 자아는 자기노출염려도가 높은 유형으로 이 유형을 위한 카카오톡 내에서의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합니다.

 

  • 카카오톡의 사용 경험이 긍정적이며, 사회적 관계 참여 순응도가 높은 유형
    메신저 기능뿐만 아니라 부가기능을 잘 사용하며 부가 기능에 긍정적인 유형입니다. 카카오톡에 강제성을 느끼는 정도가 매우 낮았으며, 관계 참여 피로도 또한 매우 낮습니다. 다양한 부가 기능에 쉽게 적응함으로 이들을 위한 개인화된 부가서비스가 추가 된다면 긍정적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 카카오톡의 부가기능 사용도가 낮지만 전반적인 사용성은 긍적적이며 주로 공적으로 사용하는 유형
    주로 공적으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카카오톡 사용의 강제성을 느끼는 정도, 관계참여 피로도, 자기노출염려도가 낮은 것으로 보아 업무 용도로 카카오톡을 사용하며, 사용경험이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상호작용 의례적 자아 유형은 업무 용도로 카카오톡을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유형이므로 업무에 특화된 기능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