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

[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_Chapter 09 기술 분석 2편

by onecosm 2022. 10. 27.
반응형

해당 포스트는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 Chapter 09 기술 분석 파트를 보고 정리한 포스트입니다.

1편에 이어 2편내용으로 1편에서는 기술 분석의 의미와 디지털 플랫폼의 의미를 알아보았습니다.

 

2편에서는 디지털 플랫폼 변화 추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지털 플랫폼 변화 추세로 편재화(ubiquitous), 디지털 융합 현상(digital convergence), 연동(divergence)가 있습니다.

 

편재화(ubiquitous)는 디지털 플랫폼이 편재화하면서 HCI 기본 원칙인 사용성과 감성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기술적 측면으로 컴퓨터의 크기가 작아지고 네트워크 기능이 무선화되면서 점차 그 안에 컴퓨터가 있지만 그것이 컴퓨터인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ex) 자동차의 스마트화 / 집의 스마트화 / 은행의 스마트화

 

디지털 융합 현상(digital convergence)은 하나의 플랫폼 안에 여러 기능과 정보를 한꺼번에 포함시켜 그 원천을 알 수 없게 섞는 것 결합 요소들 사이의 시너지 효과를 생각해야합니다. 종류로는 기기의 융합, 네트워크의 융합, 소프트웨어의 융합, 콘텐츠의 융합이 있습니다.

 

기기의 융합: 스마트폰(통신 기기 + 정보 기기), IPTV(가전 제품과 정보 기기)

네트워크의 융합 : 통신망 - 방송망 - 위성망

소프트웨어의 융합 콘텐츠의 융합 : 새로운 동영상 콘텐츠(음성 + 비디오 + 데이터)

 

연동(divergence)은 하나의 플랫폼은 최대한 제한되고 간단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대신 서로 다른 플랫폼 간의 연결을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3가지 요건으로는 다양성, 편리성, 기능성이 있습니다. 다양성은 하나의 플랫폼에 얼마나 많은 플랫폼이 연결될 수 있는지 ( 애플 플랫폼(폐쇄적) VS. 안드로이드(개방적) ) 에 대한 것이고 편리성은 얼마나 편리하게 연결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고 기능성은 언제 어디서나 필요 기기간의 연동이 가능한지에 대한 것입니다.

ex) 애플 플랫폼( 애플 기기 사이 연동 ) /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Google Drive, One Drive 등)

 

융합과 연동은 어느 하나가 무조건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서 사용자에게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고, 융합이 많아지게 되면 지나치게 복잡해지고 비싸지게 됩니다. 그에 플랫폼을 단순화하고 플랫폼 간의 연동을 통해 가격을 낮추고자 최대한 많은 플랫폼을 연동을 시키게 되는데 그러면서  편리성이나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디지털 플랫폼의 구성 컴포넌트

디지털 컴포넌트는 플랫폼을 이루는 단위 기술입니다. 시스템에서 중요한 요소들은 사용자 입장과 컴퓨터 입장에 따라 각기 달리 설정 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컴포넌트가 HCI 관점에서 의미 있다는 것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변해야합니다. 구성 컴포넌트로는 입력장치, 출력장치, 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 네트워크 장치가 있으며, HCI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장치는 입력장치와 출력장치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03. 통합적 기술 분석 방법론

 

기술 분석에서 3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세 가지 시각의 분석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세 가지 시각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기 때문입니다.

세 가지 분석 방식에는 기술 그 자체의 혁신성을 중심으로 기술 분석,  비즈니스 입장에서 시장 중심으로 기술 분석,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기술을 바라보는 방식이 있습니다.

 

기술 그 자체의 혁신성을 중심으로 기술 분석 방식은 새로운 기술이 개발 되면 그 기술을 가지고 우리가 어떤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것입니다. 장점으로는 최신 기술이 제공하는 기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단점으로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로 필요하지 않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탄생할 가능성 높습니다.

 

비즈니스 입장에서 시장 중심으로 기술 분석 방식은 목표하는 시장의 고객들에게 특정 디지털 기술이 얼마나 매력적인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시장에 속한 사람들이 좋아한다고 응답한 기술을 이용해 새로운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장점으로는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기술을 찾아낼 수 있으며 단점으로는 사람들이 자신이 사용해 보지 않은 기술에 대해서는 신뢰할 만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 번도 사용해 보지 않은 기술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사용자에게 물어도 사용자가 대답할 수 없을 가능성 존재합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기술을 바라보는 방식은 기본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하고 싶어하는 일이나 행동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각 환경에서 자신의 일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기술을 활용하고. 그런 의미로 사용자가 처한 환경에서 하고자 하는 일을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기술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것입니다.

 

기술 분석 방법론에는 경험 기반 분석, 혁신성 기반 분석, 사업성 기반 분석이 있습니다.

 

경험 기반 분석은 특정 기술이 사용자의 경험적인 특성을 얼마나 충족시켜 줄 수 있는지 총 4 단계에 걸쳐서 측정하는 것입니다. 각 단계는 유용성의 원리, 사용성의 원리 및 감성의 원리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분석, 과업 분석, 맥락 분석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경험 기반 기술 분석이 특정한 맥락 속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과업을 수행하면서 유용한 경험을 하기에 적합한 기술을 파악하는 것이 주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혁신성 기반 분석은 크리스덴 교수가 2003년에 발표한 ‘파괴적 혁신’ 관점을 기반 새로운 기술을 기존 기술과 비교해 보고 상대적인 혁신성과 이점을 파악하는 것 기술을 3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마지막 사업성 기반 분석은 기술이 지닌 사업 성공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기술을 분석하는 방법 특정 기술이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지 측정하는 기준은 6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업성 측면에서 기술 분석을 하는 작업이 HCI의 사용경험 중심 패러다임과 거리가 멀다고 지적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HCI가 단순히 만들어진 제품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최적의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략적 고민과 분석 절차로 거듭날 것을 고려해야하며, 따라서 사용자에게 선호되는 서비스, 제품의 유형을 제대로 식별하고 사업성 관점의 기술 분석을 수행하는 절차도 HCI에서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