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1 [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_Chapter 09 기술 분석 1편 해당 포스트는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 Chapter 09 기술 분석 파트를 보고 정리한 포스트입니다. 해당 챕터는 기획하고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필요한 기술을 스스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01. 기술 분석 기술 분석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어떤 기술을 활용해야 할 지 파악하는 절차입니다. 최신 제품에 신기술을 적용하지 않는 이유는 기술 분석을 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는데 첫 번째로 최신 기술이 반드시 사용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 있습니다. 1. 기술이 처음 소개 되었을 때 실제 기술 수준은 사용자 기대 수준에 비해 낮습니다. 2. 사용자는 기술의 한계로 인해 사용자의 기대에 부흥하기 어렵.. 2022. 10. 26. [논문] 모바일 메신저 사용 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사용자 유형화 _카카오톡 채팅을 중심으로 황지은, 이유림, 김소정, 강연아. (2020). 모바일 메신저 사용 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사용자 유형화 _카카오톡 채팅을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 727-731.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10402834&googleIPSandBox=false&mark=0&useDate=&ipRange=false&accessgl=Y&language=ko_KR&hasTopBanner=true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www.dbpia.co.kr 해당 포스트는 카카오톡 사용자별 모바일 메신저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기능 별 인식과 경험 분석과 이에 따른 기능 제공하는 것에 대해 발표한 논문을 보고 정리한 것입니다. 연구 방.. 2022. 10. 26. [논문] Face Recognition by Humans:Nineteen Results All Computer Vision Researchers Should Know About https://web.mit.edu/sinhalab/Papers/19results_sinha_etal.pdf 인간의 얼굴 인식: 모든 컴퓨터 비전 연구원이 알아야 할 19가지 결과 해당 포스트는 인간의 얼굴 인식 : 모든 컴퓨터 비전 연구원이 알아야 할 19가지 결과라는 논문에서 관심있었던 5번째 결과인 Of the different facial features, eyebrows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for recognition (얼굴 생김새 중 눈썹이 가장 중요한 인식대상입니다.) 에 대한 포스트 입니다. 해당 논문이 나오기 전 기존 연구에서는 각 얼굴 특징은 인식을 돕는 면에서 동등하게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얼굴을 식별하는데는 눈, 코, .. 2022. 10. 26. [논문] Comprehensive Approaches to User Acceptance of Internet of Thing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E. Park, Y. Cho, J. Han and S. J. Kwon, "Comprehensive Approaches to User Acceptance of Internet of Thing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in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vol. 4, no. 6, pp. 2342-2350, Dec. 2017, doi: 10.1109/JIOT.2017.2750765.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8031000 Comprehensive Approaches to User Acceptance of Internet of Thing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With rapid im.. 2022. 10. 26. StyleGAN(2018) --> StyleGAN2(2019) --> StyleGAN2-ADA(2020) --> StyleGAN3(2021) 이전 포스트 StyleGAN에 대해 논문리뷰를 했습니다. StyleGAN 논문을 보다가 발전된 것을 찾아보니 아래 순서로 발전되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올해말까지 StyleGAN3까지 논문 리뷰를 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StyleGAN version은 천천히 포스트 해보려고합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에 논문 링크를 정리해두었으니 읽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StyleGAN(2018) 논문 https://arxiv.org/abs/181204948 TensorFlow implementation: https://github.com/NVlabs/stylegan StyleGAN2(2019) 논문 https://arxiv.org/abs/191204958 TensorFlow implementation: https.. 2022. 10. 26. [논문] StyleGAN : A Style-Based Generator Architecture for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IVPR 2019) 2편 https://arxiv.org/abs/1812.04948 A Style-Based Generator Architecture for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We propose an alternative generator architecture for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borrowing from style transfer literature. The new architecture leads to an automatically learned, unsupervised separation of high-level attributes (e.g., pose and identit arxiv.org 사전 지식 GAN DCGAN WGAN-GP P.. 2022. 10. 26. 이전 1 ··· 7 8 9 10 11 다음 반응형